책추천5 언리시 -조용민 ‘언리시unleash’는 내가 이러한 사람들을 반복해 만나고, 그들의 비밀을 탐구한 끝에 만들어낸 개념이다. ‘언리시’는 개나 맹수의 줄을 푼다는 뜻인데, 이 책에서는 무언가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해방한다는 의미로 썼다. 가능성과 잠재력은 흔히 ‘계발’한다고 하지 줄을 풀어 ‘해방’한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가능성과 잠재력은 새로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것이다. 다만 부정적이고 편견 어린 시선에 꽁꽁 묶여 있어 자유로이 쓰지 못했을 뿐이다.가능성과 잠재력은 누구에게나 어디에나 있다. 이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재발견하고 재정의하는 것이 바로 언리시다. 또한 언리시는 내게 없는 것을 새로 만들거나 갖추려 하는 대신 이미 가진 것을 다시 해체하고 재결합하는 일, 그리하여 아무도 보지 못한 가치.. 2024. 6. 18. 회복탄력성- 김주환 회복탄력성은 소통능력과 진정한 행복감에서 온다 소통능력은 결코 말만 그럴듯하게 잘하는 언어구사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소통능력의 기본은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건강한 인간관계는 사랑과 존중이라는 두 축에 의해서 유지된다. 소통능력이란 결국 인간관계 속에서 사랑과 존중을 실현해낼 수 있는 능력이다. 사랑과 존중의 능력은 곧 호감과 신뢰를 주고받는 능력이며 이는 설득력과 리더십의 바탕이 된다. 이러한 소통능력의 향상은 긍정적 정서의 함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통능력은 마음 근력의 기초다. 소통능력을 향상시켜야 강한 회복탄력성을 지닐 수 있게 된다는 것과 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 정서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 논지다. 긍정적 정서는 변연계의 도파민 회.. 2024. 4. 24. 100세 철학자의 행복론 - 김형석 "사랑이 있었기에 나는 행복했습니다. 여러분도 행복하세요." 우리는 행복을 목적으로 삼고 인생이 그 행복을 향해 날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성장과 노력의 과정 속에서 행복을 찾아 누려야 한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이 행복하며 옳은 일을 위해 애쓰는 사람이 행복하다고 예수는 가르쳤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언제나 같은 여건에서도 감사와 자족을 누릴 수 있으며, 의를 위해 수고하는 사람은 그 수고가 성장과 발전의 과정이기 때문에 남이 모르는 행복을 누리게 된다. 이렇게 본다면 무엇을 소유하는가보다는 어떤 가치 있는 삶을 누리는가가 행복의 조건이 되며, 무엇을 얻는가도 귀하나 이웃과 사회에 무엇을 주는가가 더 큰 행복을 약속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결론은 마찬가지다. 행복은 하루하루의 진실하고 값있는.. 2024. 4. 24. 당신은 사업가입니까 (창업 전 스스로에게 물어야 할 질문들)- 캐럴 로스 “사업에 실패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애초에 사업을 하면 안 되는 사람이 사업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사업가적 성공이 당신이 열망하는 그 어떤 것이라면,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라. • 내가 원하는 바가 생계를 유지하는 것인가, 변화를 일으키는 것인가, 아니면 유산을 남기는 것인가? • 나라는 개인은 성장이 끝났는가, 아니면 나 자신을 지속적으로 변화 및 발전시키기 위해 기꺼이 내 사업에 나를 바치겠는가 그러나 만일 현재 작은 기업의 소유주이거나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업가가 되길 꿈꾸고 있는 사람에게라면 이 책이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현재 한 회사의 직원인데 창업을 위해 퇴사를 고려 중이다. • 특별한.. 2024. 4. 16. BusinessThinking for Designers https://www.ryanrumsey.com/words/business-thinking-for-designers Business Thinking for Designers is now available! • Ryan Rumsey My book with InVision—Business Thinking for Designers. It’s FREE and available online, in PDF and ePub formats, or as an audiobook. www.ryanrumsey.com 디자이너가 리더에 자리에 서야함을 깨닫게 해준 책 2024. 4.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