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프닝 & 글로벌 사용자 기반 확대
Dylan Field는 Config 2025를 시작하며 전 세계에서 참석한 사용자들과 함께한 것을 반겼습니다. 106개 도시에서 개최된 워치파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함께한 것을 강조하며, Figma가 글로벌 플랫폼으로서 얼마나 성장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UI의 다국어 지원 확대는 큰 의미를 가졌습니다. 작년엔 스페인어, 올해 초에는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를 추가하여, 더 많은 디자이너들이 모국어로 Figma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강조했습니다.
2. 성능 개선: “빠르고 매끄러운 Figma”
최근 대형 디자인 파일이 늘어나면서 퍼포먼스 이슈가 빈번해졌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에 맞춰 대형 파일 로딩 속도 33% 개선, 메모리 사용량 절감, 지능형 캐싱, 프로토타입 및 페이지의 점진적 로딩 도입 등을 통해 더욱 빠르고 부드러운 작업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디자인 시스템 구조를 아예 새롭게 설계하고 있으며, 2026년 초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을 통해 더 빠르고 반응성 높은 인스턴스 업데이트가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3. Grid Layout: 2차원 설계의 진화
- 기존 문제점:
- Auto Layout은 1차원(세로/가로) 구조에만 강점
- 2차원 구조(카드형, 대시보드, 캘린더 등) 설계 시 복잡한 중첩 필요
- 디자인 파일 복잡화 및 가독성 저하
- 해결한 문제:
- 중첩 구조 최소화
- 반복 요소 정렬 효율성 향상
- 코딩 없이 CSS Grid 수준의 2차원 레이아웃 구현
- 주요 기능:
- Grid는 새로운 Auto Layout 옵션으로 제공
- 기본 2x2 그리드로 시작, 사용자 지정 가능
- 아이템: 자동으로 셀 너비/높이에 맞게 Span 처리
- Drag & Drop으로 셀 이동 및 Span 조정 가능
- Z-index 조정, Grid 내 절대 위치 배치(Ctrl 누르고 배치)
- 개별 Column/Row 크기 조절, 숫자 값으로 지정 가능
- Grid 안에 다른 Grid 혹은 기존 Auto Layout 중첩 가능
- 개발자 모드 지원:
- Grid 레이아웃은 CSS Grid 속성으로 자동 매핑
- grid-template-columns, gap, grid-column: span 2 등 확인 가능
- 디자인-개발 간 커뮤니케이션 비용 절감
- 활용 예시:
- 앱 소개 페이지 (Bento Box 스타일)
- 캘린더 UI 구성 (날짜, 요일 자동 배치)
- 브랜드 사이트의 카드형 UI
4. Figma Sites: 디자인 → 웹사이트, 코드 없이
- 기존 문제점:
- Figma에서 웹사이트 디자인 후 개발은 별도 코드 툴에서 진행
- 디자인-개발 간 단절 발생, 협업 비용 증가
- 해결한 문제:
- 디자인-개발 간 단절 제거
- 즉시 배포 가능한 라이브 웹사이트 생성
- 코드 지식 없이도 퍼블리싱 가능
- 주요 기능:
-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와 사이트 빌드
- Breakpoints로 다양한 디바이스 대응 (Desktop, Tablet, Mobile)
- Multi-edit: 주 뷰포트에서 수정 시 자동으로 다른 뷰포트에도 반영
- 특정 뷰포트만 별도 수정 가능 (예: 모바일만 조정)
- 기존 라이브러리 컴포넌트 연동: variant에 따라 자동 적용
- Preset Interactions: Hover, 클릭 시 애니메이션, 드래그 등 바로 적용
- Scroll transforms, custom cursors, marquee, typewriter 효과 설정 가능
- Publish 버튼으로 실시간 배포, custom domain 연결 지원
- 향후 예정 기능:
- CMS 연동: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기반 블로그, 기사 페이지 생성
- Code Layers: React + Tailwind로 코드 변환, 커스텀 코드 삽입 가능
- 코드 미리보기 + 실시간 반영 기능
- npm 패키지, 상태 제어 hook 사용 가능
- 활용 예시:
- New Layers 컨퍼런스 공식 사이트 실제 배포
- Figma 내부 폰트 샘플 사이트 제작
- 포트폴리오, 마케팅 랜딩 페이지 등 빠른 MVP 웹 구축
5. Figma Make: AI로 살아 움직이는 프로토타입
- 기존 문제점:
- 프로토타입 제작에 시간 많이 소요
- 기능이 제한적이어서 개발자 동원 또는 외부 툴 필요
- 해결한 문제:
- Figma 내에서 즉시 작동하는 프로토타입 생성
- Prompt 기반 상호작용 구현
- 고급 애니메이션, 사용자 입력, 실시간 데이터 바인딩 가능
- 주요 기능:
- 프롬프트 기반 코드 자동 생성 (예: "CD가 재생될 때 회전하게 해줘")
- Make: 디자인 구조 이해, 레이어 이름/역할 인식
- 결과물: 실제 작동하는 코드 기반 웹 앱 형태
- Point & Edit: 선택 UI 요소만 직접 수정
- Point & Prompt: 특정 레이어에만 AI 적용
- 고급 활용 사례:
- 지도 API 연동된 병원 찾기 앱
- 손 추적 + 인터랙션 (예: 손짓으로 색상 변경)
- 3D 인터랙션, 게임, 오디오 시각화 등 복잡한 구성
- Figma Sites와 통합:
- Make로 만든 UI 컴포넌트를 Sites 내에서 직접 사용 가능
- React 코드로 변환, HTML 기반 뷰와 즉시 연결
- https://www.figma.com/make/
Figma Make: Create with AI-Powered Design Tools
Figma Make empowers you to turn ideas into reality with AI-powered design tools—generate, iterate, and build faster, all in one creative space.
www.figma.com
6. Figma Buzz: 콘텐츠 팀을 위한 자동화된 디자인 시스템
- 기존 문제점:
- 콘텐츠 마케터/PM은 Figma 복잡한 구조에 익숙지 않아 수정/협업 어려움
- 제작 요청 증가 시 디자이너가 병목지점 발생
- 해결한 문제:
- 마케터가 콘텐츠 템플릿 활용하여 자율 제작 가능
- 반복 작업(텍스트 변경, 이미지 교체 등) 자동화
- 팀 협업 생산성 향상
- 주요 기능:
- Buzz: Figma Design과 유사하지만 더 간결한 인터페이스
- 텍스트/이미지/레이어 수정은 폼 형식 UI로 제공
- 배리에이션 설정(배경 변경 등), 스타일 상속 자동화
- CSV 업로드로 다건 자동 생성
- 멀티 에디트: 전 채널, 전 포맷 동시 수정 가능
- 템플릿은 Figma Design에서 제작 후 Buzz에서 사용
- 활용 예시:
- 소셜 캠페인용 이미지 세트 (Instagram, LinkedIn 등)
- 연속 이벤트 배너 자동 생성
- 학생 리더 스트리밍 포스터 25종 자동 생성
https://help.figma.com/hc/en-us/articles/31271566667543-Guide-to-Figma-Buzz
Guide to Figma Buzz
Figma Buzz was released in open beta at Config 2025. It is currently available on all plans and seat types. Learn more about what’s included in the beta. Who can use this feature Who can use t...
help.figma.com
7. Figma Draw: 표현력의 한계를 넘다
- 기존 문제점:
- Figma의 벡터 도구는 UI 중심으로 일러스트, 감성적 그래픽 작업에 한계
- 해결한 문제:
- 브러시 기반 드로잉, 감성적 표현 가능
- 텍스처, 반복, 가변 스트로크 등 일러스트 툴 수준 표현 도입
- 주요 기능:
- Shape Builder: 겹치는 도형 쉽게 병합/삭제
- Lasso Tool: 자유 선택
- Radial Repeat: 원형 반복 도형 생성
- Progressive Blur: 그라데이션처럼 퍼지는 블러
- Brush Tool: 펜/브러시 선택 가능 (손그림 느낌 구현)
- Dynamic Stroke: 흔들리는 선, 연필 느낌
- Pattern Fill: 텍스처 기반 면 채우기
- Text on Path: 곡선을 따라 텍스트 배치
- Color Variables 연동으로 다크 모드 자동 대응
- 기술적 특징:
- 벡터 편집 성능 대폭 개선
- 향후 Pressure Sensitivity, Apple Pencil 대응 예고
- 활용 예시:
- 브랜드 패턴 및 감성적 일러스트
- 종이 질감 UI 표현
- 드로잉 기반 프로토타입 및 인디 게임 개발 확장 가능
8. 마무리 메시지: "디자인이 세상을 바꾼다"
Dylan Field의 핵심 메시지
- "디자인은 더 이상 과정의 일부가 아니라, 과정 그 자체입니다."
- "오늘 불가능하다고 여긴 것들이 1~2년 후에는 새로운 표준이 될 것입니다."
- "미래는 우연히 디자인되지 않습니다. 여러분 모두가 만드는 것입니다."
Figma의 확장
- 제품군을 4개에서 8개로 두 배 확장
- 아이디어에서 제품까지의 여정을 더 빠르고, 창의적이고, 협력적으로 만드는 생태계 구축
마치며
이번 Config 2025 키노트에서 Figma는 단순한 디자인 툴을 넘어 디자인-개발-협업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완전한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Grid, Sites, Make, Buzz, Draw 등 혁신적인 신제품들은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개발자, 마케터, 콘텐츠 제작자 등 다양한 협업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인상적인 점은 AI를 도구화하여 창의성을 증폭시키고, 기술적 장벽을 낮추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 Figma는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순간부터 최종 제품 출시까지 모든 단계를 커버할 수 있는 종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들 중 어떤 것이 가장 기대되시나요? 어서 새로운 기능을 쓰고 싶네요!